대법원은 교육과학기술부장관이 교과서를 검정하는 과정에서 내린 처분에 대해 법원이 어떤 부분을 심사할 수 있는지에 대한 중요한 결정을 내렸습니다. 교과서를 검정한다는 것은, 교육부가 교과서에 실릴 내용이 교육적으로 적합한지를 평가하고, 그 결과에 따라 교과서가 학교에서 사용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절차입니다.

 

교과서 검정이란?

교과서 검정은 학교에서 사용하는 교과서를 국가가 미리 검토하는 과정입니다. 즉, 교과서를 집필한 저자가 내용을 작성하면, 그 내용이 학생들에게 적합한지, 교육적으로 문제가 없는지를 교육부에서 심사하는 것이죠. 교과서의 내용이 정확한지, 학습에 도움이 되는지 등을 평가하여 최종적으로 교과서로 사용할 수 있는지 허가하는 절차입니다.

 

법원의 역할

교과서 검정과 관련된 처분에 대해 법원이 심사할 수 있는 범위는 제한적입니다. 대법원은 "법원이 교과서의 저술내용이 교육에 적합한지 여부를 직접 심사할 수는 없다"고 판단했습니다. 이것은 교과서 내용 자체가 올바른지, 학생들에게 적절한지에 대해서는 법원이 판단할 수 없다는 의미입니다. 교육적 판단은 교육 전문가들이 해야 할 일이지, 법원이 할 일은 아니라는 뜻입니다.

법원은 교과서 내용이 올바른지 판단하는 대신, 교육부가 교과서를 검정할 때 법에 맞게 절차를 따랐는지를 심사할 수 있습니다. 즉, 교육부가 관계법령과 심사기준에 따라 제대로 검정 절차를 밟았는지, 그 과정에서 문제가 없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법원의 역할인 거죠.

 

왜 법원은 교과서 내용을 심사하지 않을까요?

법원이 교과서의 내용을 직접 심사하지 않는 이유는, 교육에 대한 판단은 교육 전문가들이 가장 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. 교과서의 내용이 적절한지, 학생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지 등을 판단하는 것은 교육 분야의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이 필요한 일입니다. 따라서 법원은 이런 교육적 판단을 교육부에 맡기고, 법원은 그 과정이 법에 맞게 이루어졌는지를 살피는 데 중점을 두는 거예요.

 

관계법령과 심사기준이란?

교육부가 교과서를 검정할 때는 관련 법령과 기준에 따라야 해요. 예를 들어, 교과서의 내용이 특정한 기준을 넘지 않도록 정해진 규칙이 있을 수 있습니다. 그 기준에 맞춰서 교과서를 검정해야 하고, 법원은 그 과정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하는 거예요. 만약 법에서 정해진 절차를 따르지 않고 검정을 했다면, 그때 법원이 "이 검정은 잘못되었다"라고 판단할 수 있는 거죠.

 

결론

결론적으로, 교과서 검정에 관한 법원의 역할은 교과서 내용이 교육적으로 적합한지 여부를 직접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, 교육부가 법과 기준에 맞춰 검정을 진행했는지를 심사하는 것입니다. 교육적 판단은 교육 전문가들에게 맡기고, 법원은 그 절차와 법적 기준을 따랐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대법원의 결정입니다.

대법원은 독일의 판단여지이론을 받아들이지 않았고, 때문에 사법심사를 진행했지만, 그 내용을 심사하지는 않았고, 심사기준에 따라 처분한 것인 지만 살펴보았습니다.

+ Recent posts